-
‘사람다움의 길, 세움(立)에서 찾는다’
마음인문학연구소2021/08/30
-
새전북신문 칼럼 [오늘과 내일] 부안에 흐르는 매창의 예술혼
/손시은(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매창(梅窓, 1573~1610)은 개성의 황진이와 더불어 조선조 기녀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이자 면면히 이어진 부안의 예술혼을 대변하는 아이콘이다. 아무리 빼어난 실...
마음인문학연구소2021/08/28
-
새전북신문 칼럼 [삶의 향기] 백일홍, 100일의 뜨거운 기적
/손시은(원광대 마음인문학 연구소 연구교수) ‘방콕’으로 여름휴가를 보냈다. 마침 동경올림픽 경기가 한창이어서 우리나라 선수들의 경기를 시청하며 응원도 하고, 주인 잘못 만나 고생 많은 몸을 건강한 먹거리...
마음인문학연구소2021/08/12
-
키워드로 본 마음공부 26. “영(靈)”
영(靈) 글. 장진영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장·교무 영(靈)이란 말은 육(肉)과 상대되는 말이다. 풀어쓰면 영은 영혼, 육은 육신이다. 일상의 마음작용이나 모든 정신현상이 영의 작용 아님이 없다. 그렇다면...
마음인문학연구소2021/08/12
-
월간불교 8월호 삼문원융: 부처의 행이 바로 부처이다
월간불교 8월호 삼문원융: 부처의 행이 바로 부처이다
마음인문학연구소2021/08/08
-
새전북신문 칼럼 [전북의 창] 행복한 ‘부자바라기’로 살아가기
/손시은(원광대 마음인문학 연구소 연구교수) 부자로 살고 싶지 않은 사람은 없다.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누구나 부자가 되길 원한다. 이런 점에서 우리 모두는 ‘부자바라기’임에 틀림없다. 즉, 부자를 동경...
마음인문학연구소2021/07/22
-
키워드로 본 마음공부 25. “시비이해”
‘시비이해’ 글. 장진영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장·교무 인간의 모든 일에는 반드시 시비이해(是非利害)가 따른다. 그러나 우주자연의 이치에 대하여서는 ‘왜 그렇게 했느냐, 그렇게 하는 것은 옳다/그르다’ ...
마음인문학연구소2021/07/06
-
월간불교 7월호 삼문원융: 견성성불, 그리고 눈 속의 붉은 복사꽃
월간불교 7월호 삼문원융: 견성성불, 그리고 눈 속의 붉은 복사꽃
마음인문학연구소2021/07/01
-
월간불교 7월호 삼문원융: 견성성불, 그리고 눈 속의 붉은 복사꽃
월간불교 7월호 삼문원융: 견성성불, 그리고 눈 속의 붉은 복사꽃
마음인문학연구소2021/07/01
-
원불교신문, 포스트 코로나 시대, 마음공부의 뉴노멀
[원불교신문=박세웅 교무] 인류는 코로나19의 확산여파에 따른 충격이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교육·사회·의료·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우리의 일상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목도하고 있다. 또한 그 영향이 부...
마음인문학연구소2021/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