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대조 정전공부6: 일상수행의 요법 7조
마음대조 정전공부6: 일상수행의 요법 7조
마음인문학연구소2022-12-01

일상수행의 요법 7조

글. 김일원  교무·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사회의 불평등한 구조를 개선하여 평등세계를 건설하기 위한 방법으로, 원불교에서는 네 가지 요긴한 윤리 덕목 ‘사요(四要; The Four Essentials)’를 이야기한다. 지난 호에서 사요 가운데 그 첫 번째 ‘자력양성(自力養成; Developing Self-Power)’에 대해 공부했다면, 이번 호에서 함께 공부할 일상수행의 요법 7조는 사요 가운데 그 두 번째, ‘지자본위(智者本位; The Primacy of the Wise)’의 실천 조목이다.

일상수행의 요법

7. 배울 줄 모르는 사람을 잘 배우는 사람으로 돌리자.

많은 현대인들이 배움을 위해 부단히도 노력한다. 예컨대, 더 나은 성취와 발전을 위해 직장생활과 동시에 외국어 공부를 해 나가는 이들, 자격증 과정에 등록하여 자기계발을 놓치지 않는 이들, 뿐만 아니라 동네배움터 등을 통해 음악·미술·요가·독서·목공 등의 평생교육을 해 나가는 이들까지, 자기 진작의 배움에 열심인 이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그런데, 일상수행의 요법 7조에서 말하는 ‘잘 배운다는 것’은 이러한 지식 위주의 학습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지식 습득 외에도, 학령기·비학령기 할 것 없이 모든 이들의 ‘일상에서의 마음공부’에 그 핵심 포인트가 있다. 말하자면, 소태산 대종사는 어떠한 처지에 있든지 배울 것을 구할 때에는 불합리한 차별제도에 끌릴 것이 아니라 오직 구하는 사람의 목적만 달하라 강조하시었다. 어떠한 사회적 지위나 나이, 성별, 학력 등을 내세워 ‘내가 쟤한테 뭘 배워?’ 할 것이 아니라, 구하는 바에 있어 나보다 나은 이라면 스승으로 알고 ‘배울 줄 모르는 나’를 ‘잘 배우는 나’로 돌리는 공부를 하자는 것이다.

잘 배우는 나로 돌리는 공부가 쉬울 것 같지만, 사실 우리는 ‘나라는 상(我相)’에 잡혀 살아갈 때가 많다. 남보다 잘났다는 생각, 똑똑하다는 자기착각, 알량한 자존심과 교만심 등 이러한 것들이 은연 중 우리 의식을 지배한다. 그래서 누구라도 배움을 좋아할 것 같지만 실제는 ‘지가 뭔데 나를 가르쳐?’, ‘똑똑한 척 하시네…’ 하는 마음으로 잘 배우지 못할 때가 많고, 혹은 과거의 일들까지 끌어다가 현재의 그 사람을 평가하면서 나보다 나은 그 사람의 현재 모습을 부정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마음이 일어나면 그 요란함, 그 어리석음, 그 그름을 알아차리고 ‘배울 줄 모르는 나’를 ‘잘 배우는 나’로 돌리는 일상의 마음공부를 해야 한다. 초심자의 마음(beginner’s mind)으로 늘 자신을 챙겨 나아가며, 과거 경험에 따른 해석으로부터 자유로우면서 그 상황 상황에서의 알음알이를 얻어 나아갈 수 있는 공부를 해야 한다.

‘잘 배우는 공부’를 이야기하면서, 단순하고 순수한 마음, 모든 가능성에 열려 있는 편견 없는 ‘초심자의 마음’을 강조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는데, 필자의 전문 영역인 인지심리학의 일부를 설명함으로써 그 이해를 도우려 한다.

인식의 주체자인 ‘나’는 여섯 개의 감각기관(육근:안·이·비·설·신·의)을 통해 세상의 정보(육경:색·성·향·미·촉·법)를 받아들인다. 이때의 정보처리는 상향처리와 하향처리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향처리(bottom-up processing) 지각과정이란, 감각기관으로 입력되는 정보와 이 정보가 유발하는 뇌의 전기적 신호를 통해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을 말한다. 입력되는 자료에만 의존하여 지각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그러나 우리의 지각과정은 상향처리를 통해 제공받은 정보 이외의 정보에도 영향을 받는다. 즉 기존 지식 및 경험, 특정한 상황이 유발하는 기대감, 선입견, 고정관념과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이는 하향처리(top-down processing) 지각과정으로서, 우리의 선행지식 또는 기대에 의존하는 처리 과정이다.

상향처리는 선입견 없이 정보를 받아들이는 장점이 있지만, 맥락 등의 이용을 하지 않으니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하향처리는 기존 지식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에 빠르다는 장점이 있으나,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오류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두 가지 방식 중 어느 것이 절대적으로 낫다고 할 수는 없다. 다만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은, 현대인들은 바쁠수록 하향처리를 사용하게 될 수 있다는 점이다. 기존 경험이 상대적으로 약한 어린 아이들일수록 상향처리를, 나이를 먹은 어른일수록 하향처리를 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따라서 초심자의 마음으로 늘 세상을 바라보고 배우려하지 않는다면, 정보를 받아들일 때 자동적으로 하향처리 방식만 작동시키게 될 수 있다. 선행지식에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옳다고 고집부리며 진실을 바로 보지 못할 수가 있다. 상황을 그대로 보지 못함에 따라 갈등관계가 커질 수도 있으며, 새로운 트렌드를 읽어낼 안목도 좁아지게 되고 일명 ‘**’로 살아갈 수밖에 없게 된다. 그 일 그 일에서, ‘배울 줄 모르는 나’를 ‘잘 배우는 나’로 돌리는 공부를 잘 해야 하는 이유이다.


※ 아마도 왼쪽, 오른쪽 둘의 경험을 많이 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어느 쪽의 빈도가 더 높은지가 핵심입니다.

 

김일원 교무

http://www.m-wonkwang.org/news/articleView.html?idxno=1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