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한국전통에서의 마음이해와 도야의 개념 -유·불·도(儒佛道) 삼교합일 사상을 중심으로- (정혜정) | |
---|---|
마음인문학연구소2013-03-14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이메일 프린트 |
분류 논문 학술지구분 등재 논문제목 한국전통에서의 마음이해와 도야의 개념 -유·불·도(儒佛道) 삼교합일 사상을 중심으로- 저자 정혜정 참여구분 HK연구인력 저자수 1 학술지명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제55집 발행처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게재일 2013.03.14 한국전통에서의 마음이해와 도야의 개념 -유·불·도(儒佛道) 삼교합일 사상을 중심으로-
정혜정(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 <요약문> 삼교합일사상에 나타난 체용(體用)일치와 유무(有無)일치, 그리고 만수일본(萬殊一本)의 마음이해는 한국 역사 속에서 강한 생명력을 가 지고 계승되어 왔다. 득통 기화나 허응당 보우, 서산 휴정과 같은 선승 들은 삼교 모두 본래의 의미와 달리 체나 용, 어느 한편에 치우쳐 왔음 을 지적하고 삼교를 결합하여 체용일치의 도로 나가고자 했다. 또한 그 들의 유무일치의 마음이해는 변화 생성의 이치를 제시하면서도 인간 스스로가 보편성과 다양성을 겸비하는 개체임을 말해준다. 전체의 통 일성만을 일삼는 도가 아니라 월조천강(月照千江)과 같고 춘행만훼(春 行萬卉)와 같은 일본만수(一本萬殊)의 이치라는 것, 그리고 모든 개체 가 우주 근원을 원만히 다양하게 드러내고 있음을 강조하여“감춤의 보 편성과 드러냄의 다양성”을 제시한 것은 주목할 일이다. 체용일치와 유 무일치, 월인천강의 마음이해에 따른 마음도야는 우주만물이 하나임을 말하고 본심활동의 도야와 만물일기의 덕행에 그 중심을 두게 된다. 특 히 근대 동학이나 원불교에 오면 직관적 관조뿐만 아니라 궁리·분석 의 도야가 통합되어 민중들에게 제시됨을 볼 수 있다. ‘수본진심(守本 眞心)’과‘만물일기(萬物一己)의 덕행’, 그리고‘궁리’세 가지는 삼교 합일의 한국전통이 제시하는 중요한 마음도야라 할 것이다.
주제어: 삼교합일사상, 체용일치, 유무일치, 만수일본, 수본진심, 만물일기, 궁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