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의 마음 이해 – 緣起적 관점과 性起적 관점을 중심으로-(장진영)
불교의 마음 이해 – 緣起적 관점과 性起적 관점을 중심으로-(장진영)
마음인문학연구소2012-08-10

분류   논문

학술지구분   등재

논문제목   불교의 마음 이해 – 緣起적 관점과 性起적 관점을 중심으로-

저자   장진영

참여구분   HK연구인력

저자수   1

학술지명   철학연구  제123집

발행처   대한철학회

게재일   2012.08.10

불교의 마음이해 – 緣起적 관점과 性起적 관점을 중심으로

장진영(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 연구소 HK연구교수)

[논문개요]

  우리는 마음을 나타내는 수많은 용어를 가지고 있다. 이를 크게 분별심과 무분별심이 관계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마음에 대한 이해가 우리의 언어적 분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어떤 것에 대한 분별이 일어날 때, 우리는 그 분별에 의하여 나타난 마음[분별심]을 인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분별을 벗어난 본래 마음[무분별심]도 함께 생각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체로 불교에서는 마음을 일체와의 관계 속에서 바라보고 그것을 연기적 관점에서 이해하여 왔다.

  초기불교와 부파불교에서는 마음에 대한 분별적 접근이 주로 이루어지고 그 분별심의 생성과 소멸을 연기의 법칙으로 설명하였다. 이때 분별심은 연기된 것으로 무상한 것이며, 찰나적인 것이다. 그러나 결코 분별심을 허망한것으로 부정한 것은 아니다. 한편 대승불교에서 용수는 연기의 본질을 “空”으로 파악하고 연기를 순차적 의존관계가 아닌 동시적 의존관계로 이해하였다. 용수는 공을 통하여 분별심의 허망성을 지적함으로써 분별 이전의 무분별심을 직접 볼 수 있게 한 것이다. 무분별심은 언어적 분별(허망분별)을 떠난 자리이기 때문에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지만, “不空”의 측면에서는 여러 假名을 통하여 심층의식이나 본성에 대한 접근이 시도될 수 있었다.

  여기서 공사상이 분별의 허망성을 지적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면 화엄사상은 분별의 진실성을 일체가 연기되어 있다는 일승연기의 입장에서 제시하고 있으며, 나아가 일체가 모두 본성이 그대로 현현한 性起임을 밝힘으로써 무분별과 분별(참분별) 모두를 긍정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화엄사상에서는 ‘분별심’ 혹은 ‘무분별심’ 자체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기보다는 無住의 입장에서 분별과 무분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마음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시도하고 있다. 연기적 관점(緣起門)에서는 분별의 세계에서 무분별의 세계로 들어가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성기적 관점(性起門)에서는 무분별의 세계에서 분별의 세계마저 드러내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은 마음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분별에 집착하는 마음병을 치유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다.

* 주제분야 : 불교철학

* 주 제 어 : 마음, 분별심, 무분별심, 공, 화엄, 연기, 성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