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활동
“마음인문학 – 온라인에서 꽃피는 마음공부와 명상 그리고 우리의 화두” | |
---|---|
마음인문학연구소2021-11-12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이메일 프린트 |
[원불교신문=오용석] 코로나19는 우리 삶에 많은 변화를 몰고 왔다. 코로나19는 우리 인류가 단독의 실체가 아닌 연결의 그물망으로 이뤄져 있음을 깨닫게 했다. 그것은 비록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인한 역설적 교훈이지만 우리는 이를 통해 다시 관계의 소중함과 새로운 연결 방식에 눈뜨게 됐다. 즉 물리적 거리두기는 하나의 생활방식이 됐지만 온라인 네트워크, 증강현실, 메타버스 등을 통한 새로운 방식의 소통 방식이 강화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소통은 직접적인 접촉이 아닌 간접적인 접촉을 지향하지만 조금씩 새로운 일상 즉 뉴노멀(New Normal)의 일환으로 자리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온라인의 비대면 접촉의 증가는 위드 코로나(With Corona)를 앞당길 수 있는 초석이 됐다. 효과적 전달방식 활용한 마음공부 이러한 때 필자는 2020년 11월부터 온라인을 활용해 마음공부와 명상을 안내하고 있다. 우선 온라인 뉴스레터(똥막대기 마음공부 뉴스레터)를 발행해 매주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구독자들에게 전달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또한 일상 속에서 활용 가능한 명상 방법을 유튜브(똥막대기 마음공부)를 통해 공유하면서 누구나 명상을 자신의 삶에 적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스타그램(지금, 3분 명상)을 통해 매일 3분 정도의 시간을 활용해 삶 속에서 깨어있는 마음공부를 할 수 있는 3분 명상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똥막대기 마음공부’ 캡처. 결국 콘텐츠의 질과 내용이 중요 둘째, 우리 삶의 전반적인 환경이 개인의 자율성과 의지가 중시되고 있다. 마음공부와 명상을 가르친다는 입장보다는 안내해주는 가이드로서의 인식이 중요하다. 보통 마음공부와 명상 지도자들은 종교적인 권위 혹은 단체나 전통의 권위에 힘입어 사람들을 교화대상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수평적인 인간관계보다는 차등적인 관계 속에서 가르침을 전달하는 자와 가르침을 받는 이원 관계가 주를 이룬다. 그렇지만 온라인을 활용한 마음공부와 명상의 환경에서는 이러한 전제가 필요 없다. 마음공부와 명상을 접하는 사람들의 주관적 기호가 중요하고 때로 이들이 훨씬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마음공부와 명상을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입장이 아닌 안내자의 입장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상호 소통의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셋째, 결국 콘텐츠의 질과 내용이 중요하다. 온라인을 통해 마음공부와 명상을 접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미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경험했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 유튜브 등을 통해 공유되고 있는 마음공부와 명상 콘텐츠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사실 온라인 시장에는 상당히 수준 높은 콘텐츠가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양질의 콘텐츠를 확보하지 못하면 마음공부와 명상의 사회적 확산은 실행되기 어려운 과제로 남을 것이다. 마음공부와 명상의 본질 그렇다면 우리는 이처럼 변화하는 시대에 어떻게 마음공부와 명상을 해나가야 하고 사회와 더불어 소통해야 할 것인가. 물론 정확한 답변이나 정해진 대답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과감한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는 현재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소통, 가상과 현실의 소통, 대면과 비대면의 공존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마음공부와 명상은 어디로 흘러가고 있으며 어떻게 해나가야 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특히 마음공부와 명상을 지도하고 이끄는 사람들이라면 이러한 질문을 수시로 던져야 할 것이다. 오용석 마음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http://www.w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3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