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미국 원다르마센터에서 좌선수행의 원리와 호흡의 방법, 앉는 자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원불교신문=조덕상 교무]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에서는 마음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류의 희망과 비전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노력의 일부를 지면을 통해 공유하고자 한다.

두 발로 일어서다
소태산은 일상수행의 요법에서 ‘자성의 정과 혜와 계를 세우자’라고 말했다. 공자는 논어에서 ‘서른 살에 세움이 되었다(三十而立)’고 말했다. 여기서 세움이란 무엇일까? 질문이 추상적이니 실질적으로 바꾸어보자. 우리는 왜 두 발로 설까? 사람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평생을 두 발로 걸으며 살아간다. 여기서 두 발로 선다(세움)는 것은 무엇인가?

인간은 직립동물이다. 언제부터 두 발로 섰는지 분명치 않다. 여러 연구에서 수백만 년 전부터 인류가 지금과 비슷하게 서고 걸었다고 밝히고 있다. 확실한 것은, 몸을 세우는 방법을 일찍부터 터득하여 직립으로 생활하고 있다는 점이다.

태어나자마자 걷는 동물도 많은데, 인간은 발달이 더디어 걸으려면 1년 정도를 노력해야 한다. 그런데 어느 시점이 되면 다른 동물을 넘어선다. 현대문명은 인간이 여타 동물과 다른 고도로 발달한 동물임을 증명하고 있다. 큰 그릇이 늦게 만들어진다(大器晩成)고 했는데, 인간이 그렇다. 그런데 왜 두 발로 서는지, 왜 두 발로 걷는지 그 이유는 분명치 않다. 중요한 것은 인간은 두 발로 서고 두 발로 걷는다는 점이다. 굳이 대답을 찾자면 어느 책 제목처럼 인간은 ‘걷기 위해 태어난(born to walk)’ 존재이다.

만물의 영장이 되다 
직립은 인간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직립으로 생겨난 인간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크게 세가지를 이야기할 수 있다.

첫째, 손의 자유로움이다. 손이 땅에만 머물러 있었다면 지금과 같은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는 인간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 손은 인간을 도구를 사용하는 존재로 변화시켰다. 둘째, 언어의 사용이다. 직립은 성대 구조를 변화시켰다. 직립하게 되면 척추와 머리의 각도가 달라지면서 후두가 아래로 내려오고 소리를 진동시킬 수 있는 공간이 넓어진다. 즉 다양한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언어가 발달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눈높이의 변화이다. 네 발로 걷는다면 앞다리의 길이만큼의 높이가 시야의 전부이다. 그런데, 직립하면서 뒷다리와 몸통의 길이만큼 높아진 시야를 확보했다. 직립은 더 넓고 더 멀리 세상을 볼 수 있는 눈을 선물했다.

직립의 힘은 인류를 다른 동물과 다른 존재로 만들었고, 문명을 이루고 살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이제 인간은 지구상에서 위대한 존재가 되었다.